총 20문제가 검색되었습니다.
박테리오파지의 기주특이성을 이용하여 진단할 수 있는 병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밀 속깜부기병
벼 줄무늬잎마름병
보리 겉깜부기병
벼 흰잎마름병
과수의 자주날개무늬병균은 분류학적을 어느 균류에 속하는가?
난균
담자균
자낭균
접합균
호박의 흰가루병을 방제하기 위해서는 어느 부위에 약제를 처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가?
뿌리
잎과 줄기
토양
종자
식물병원체가 생산하는 기주 특이적 독소는?
Victorin
Tentexin
Pohiobolins
Fumaric acid
인공 배지에서 배양이 가능한 식물 병원체는?
선충
바이러스
세균
파이토플라스마
다음 중 기생성 종자식물이 수목에 미치는 주요 피해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국부적 이상 비대
기주로부터 양분과 수분 탈취
저장물질의 변화 및 생장 둔화
태양광선의 차단에 의한 생장 불량
시설재배에서 발생하는 토양 병해의 방제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습도 조절
태양열 소독
훈증제 사용
경엽처리제 사용
토마토 풋마름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토마토에만 감염된다.
담자균에 의한 병이다.
병원균은 주로 병든 식물체에서 월동한다.
병원균이 뿌리로 침입하면 뿌리가 흰색으로 변한다.
국내에 발생하는 채소류의 균핵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잎, 줄기, 열매 등에 발생한다.
자낭포자나 균핵에서 발아한 균사로 침입한다.
발병 후기에는 발병 조직에 백색 균사가 나타난다.
균핵이 땅 속에 묻혀 있다가 25℃ 이상의 고온이 되면 발아한다.
종묘 소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농약만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종자의 발아율을 좋게 하는 방법이다.
종자의 이물질이 없도록 정선하는 방법이다.
종자와 종묘 이외도 덩이뿌리 등 영양번식체를 소독하는 방법이다.